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뉴저지 한인 동포 줄었다

작년 뉴욕 및 뉴저지에 거주하는 한인 동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정부는 코로나19·경기 침체의 영향이라고 해석했다.   19일 재외동포청이 발표한 ‘2023 재외동포현황’에 따르면 작년 뉴욕·뉴저지·커네티컷주에 거주하는 재외동포는 총 30만4459명이다. 직전 조사인 2020년(36만53명)보다 15.4%(약 6만명) 줄었다.   재외동포현황은 재외공관을 통해 파악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2년에 한 번 매 홀수 연도에 발표된다. 2021년까지는 외교부가 담당했고, 올해부턴 재외동포청이 맡았다. 올해 현황은 작년 말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뉴욕·뉴저지에선 일반 체류자가 급감했다. 비영주권자 중 유학생이 아닌 일반 체류자는 2021년보다 53.8% 감소한 5만2882명이다.   일반 체류자 외 다른 인구는 모두 증가했다. 영주권자는 5만945명(+1.4%), 유학생 7724명(+12.3%), 시민권자 19만2908명(+2.3%)으로 집계됐다.   시민권자 중 입양인 수는 2만1356명이다. 재외국민 등록률은 50.9%로 총 5만6740명이다.   재외동포청은 인구 증감에 대해 “코로나19와 경기 침체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보면 뉴욕 재외동포는 17만7242명으로 2021년(19만 4495명)보다 19% 감소했다. 뉴저지는 9.2% 줄어든 13만3307명으로 추산됐다. 커네티컷은 25% 감소한 1만3911명이다.   재외동포현황은 센서스국 등의 공식 통계와 공관 직접 조사, 민원처리자료, 동포단체 자료를 활용해 추정한 결과로 실제 현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전 세계 재외동포는 708만1510명으로 2년 전과 비교해 3.3% 감소했다. 같은 기간 미국 재외동포는 261만5419명으로 약 2만명 줄었지만, 여전히 가장 많은 재외동포가 거주하는 국가다.   미국 내에선 LA(66만명), 시카고(34만명), 뉴욕(30만명), 샌프란시스코(28만명), 애틀랜타(26만명) 순으로 한인 동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뉴저지 뉴욕 뉴욕 재외동포 뉴저지 한인 세계 재외동포

2023-10-19

[2023 재외동포현황 통계] LA 한인 3명중 2명 시민권자

지난 2년 사이 LA총영사관 관할지역에서는 한국에서 온 단기체류자는 줄고, 유학생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 속에 일반 방문객과 주재원 등은 국내로 귀국한 반면 유학생은 미국에 남아 학업을 계속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19일(한국시간) 한국 재외동포청은 ‘2023 재외동포현황’을 공개하고 재외동포가 2년 전 732만 명에 비해 708만 명(2022년 말 기준)으로 24만3000명 줄었다고 밝혔다. 재외동포란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인 ‘재외국민’과 한때 한국인이었다가 대한민국의 국적을 이탈한 외국인(해외 시민권자) 및 그 직계비속, 즉 ‘한국계 외국인’까지 총칭한다.   재외동포청은 전 세계 181개국에 재외동포(현지 국적자 포함) 708만1510명이 거주하고 있다고 전했다.   통계에 따르면 LA총영사관 관할지역은 2017년부터 재외동포 66만 명 수준을 유지했다. 2023년 LA총영사관 관할지역에 재외동포는 총 66만2383명으로 시민권자 44만624명, 재외국민 22만1759명(영주권자 11만6095명, 일반 9만8048명, 유학생 7616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66만5185명 대비 큰 차이는 없었지만, 일반체류자는 -9.8% 줄고 유학생은 8.3%가 늘었다.〈표 참조〉   이에 대해 LA총영사관 측은 “일반체류자는 유동인구 포함으로 여러 통계를 취합한 추산치”라며 “반면 유학생은 유학생통계(SEVIS)로 수치가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2023년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지역 재외동포는 총 286만2781명으로 집계됐다. 2017년 273만3194명보다 12만여 명이 늘었다.     이중 미국 재외동포는 91.3%에 달하는 261만5419명으로 집계됐다. 관할지역별로 LA 66만2383명, 시카고 34만7900, 뉴욕 30만4459명, 샌프란시스코 28만1372명, 애틀랜타 26만6709명, 주미한국대사관 15만7778명, 휴스턴 9만9824명, 댈러스 8만6825명, 호놀룰루 7만6064명, 필라델피아 7만2639명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년 사이 공관별 재외동포는 주미한국대사관(-16.7%)과 뉴욕총영사관(-15.4%)에서 크게 줄었고 샌프란시스코(15%), 앵커리지(12%), 애틀랜타(10.2%), 호놀룰루(7.2%)는 늘어나 대조를 보였다.   재외동포청은 미국 연방센서스, 국토안보부, 이민세관국 통계 등을 참고했다고 전했다. 연방센서스는 지난 9월 2022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를 통해 전국 한인(혼혈포함) 인구는 총 205만1572명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1년 한인인구 196만2184명보다 8만9388명(4.6%) 늘어난 수준이다. 연방센서스 집계는 한인 시민권자와 영주권자 등 장기거주자에 초점을 맞췄다.   한편 전 세계 재외동포 708만1510명 중 재외국민은 246만7969명, 외국 국적 동포는 461만3541명으로 나타났다. 재외국민 중 유학생은 15만1116명으로 2년 전에 비해 11.8%로 감소폭이 가장 컸다.   재외동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국가는 미국(261만5418명), 중국(210만9727명), 일본(80만2118명), 캐나다(24만7362명), 베트남(17만8122명), 우즈베키스탄(17만4490명), 호주(15만9771명), 러시아(12만4811명), 카자흐스탄(12만1130명), 독일(4만9683명) 순이다.   재외동포청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영향으로 중국에서 한국으로 귀국한 재외동포가 늘어 2021년 732만 명 대비 전체 감소의 98.8%인 24만695명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 재외동포현황 통계 미국 시민권자 한국 재외동포청 한인 시민권자 세계 재외동포

2023-10-19

[기고] ‘재외동포청’ 현실로 다가오는가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은 뉴욕에서 동포 간담회를 열고 “재외동포청 신설은 저의 공약이자 민주당 공약이기도 하다”며 “정기국회에서 어려움 없이 잘 통과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동포들의 권익 신장과 안전을 위해 미 당국의 관심을 촉구할 것”이라며 “동포 여러분이 미국 사회에서 합당한 권리를 누리고 한인 동포사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로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재외동포청’ 설립은 어제오늘의 이슈가 아니다. 대선 때마다 대통령 후보들의 단골 공약이었다. 그러나 언제나 새 정권이 들어서면 논의 대상만 됐지 결과적으로 유야무야로 끝났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강하게 ‘재외동포청’ 설립을 강조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재외동포청’이 그간 실현되지 못한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대외적으로 적잖은 문제다. UN 차별금지 규약, 중국과의 외교마찰, 거주 문제 외에 세금문제, 병역문제 등 국민 4대 의무 미준수 등에 대한 국민적 정서가 장애 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국내적 상황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 앞에 재외동포가 국가에 끼친 영향을 제고해야 한다.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국가발전에 기여한 공로의 가치는 측정할 수 없는 국위선양이요, 국가의 자산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 재외동포 수는 732만여 명이다. 지구촌 곳곳에 732만여 명의 재외동포가 살고 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재외동포들이 어려움을 딛고 각처에서 피와 땀과 눈물로 각고의 노력과 재능, 열정으로 각 분야에서 국위를 선양하고 있지 않는가. 이러한 참모습은 보지 않고 선거 때만 되면 그중에 215만 명은 투표권을 가진 유권자이기에 표심에 따라 각 당에서 달콤한 ‘재외동포청’ 설립을 미끼로 삼았기에 선거가 끝나면 잠잠한 것이 사실이 아니던가. 이제는 이런 얄팍한 술수는 버려야 한다.     윤 대통령의 확고한 ‘해외동포청’ 설립 의지에 맞춰 집권 여당이 앞장서서 야당과 당리당략을 떠나 재외동포의 안전과 삶의 질, 권익을 위한 과감한 정책에 힘을 합하여 법제화해야 한다.     사실 ‘재외동포청’ 설립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님을 안다. 현재 재외동포 관련 업무가 외교부와 법무부, 교육부, 병무청, 국세청 등 여러 부처에 나뉘어 있다. 그 동안 업무효율성에 많은 문제가 있어 동포의 원성을 사는 일이 많았고,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위해 통합 지원 창구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재외동포청 설립을 추진하려면 대대적으로 정부가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각 부처 간의 이해관계가 얽혀 복잡한 상황이라 엄두조차 못낸 것이 이유일 수도 있다. 재외동포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어 상황에 따라 거주하는 국가들과의 외교적, 문화적, 종교적 마찰 등의 우려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우에 불과하다. 오히려 재외동포 전담기구인 ‘재외동포청’을 둠으로써 재외동포 인구 규모와 전략적 중요성에 걸맞은 발 빠르고 합리적인 정책 대응을 할 수 있다.     ‘재외동포청’은 포괄적인 해외동포 문제를 효율적으로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무엇보다 재외동포 전담기구가 설립될 경우 특정 부에 속하지 않고, 총리직활로 두면 독립된 활동이 가능하므로 정책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윤 대통령의 확고한 재외동포 정책을 여야가 합의하여 ‘재외동포청’ 설립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되기를 기대한다.   박철웅 / 일사회 회장기고 재외동포청 재외동포청 설립 재외동포청 신설 세계 재외동포

2022-09-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